• 소개
  • 제제프렌즈
  • 한림쉼터
  • 인생견생
  • 로그인
  • 구독하기

인생견생

인생견생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제제프렌즈와 사회적 임펙트

비영리 스타트업 주최 측에서 원하는 것이 무언인지 이제 조금 감이 옵니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스타트업' 방식은 제가 생각하는 '데이터', '시스템' 등의 경영 시스템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었습니다. 문제를 혁신적인 방법으로 해결, 사회적 임펙트를 만들고 가능하다면 투자도 받고... 그런 거였습니다. 대신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비영리적인 부분이어야 할 것입니다. 왜 식판과 평판 이야기를

제제프렌즈와 사회적 임펙트
인생견생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비영리 스타트업 지원사업

비영리 스타트업 지원사업이 있어 지원해보려고 사업계획서를 쓰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급한 문제가 민간 동물보호시설 신고인지라 그럼 '스타트업'처럼 돈을 버는 시스템을 계획해서 제출해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우리에겐 '후원굿즈'가 해당될터였습니다. 남들이 보면 그게 무슨 사업이냐고 하겠지만 저는 꽤나 진지했습니다. 그래서 책도 읽고, 자료도 찾아보고, 전화 문의도 해보는 등 나름의 과정을 거쳤답니다. 그런데 뭔가 찝찝한겁니다.

비영리 스타트업 지원사업
인생견생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림쉼터 아이들의 대이동

민간 동물보호시설 신고를 하기 위해선 크게 3가지 일이 필요합니다. 산지전용 : 현재 땅에 용도와 다른 것을 할 수 있는 허가(현재 땅은 임야)건축 인허가 : 건축물(견사)를 짓겠다는 인허가건축 : 설계를 통한 실질적 공사불법은 그냥 하면 됩니다. 봉사자분들과 함께 펜스 사다가 세우면 끝입니다. 하지만 합법으로 하려면 1~3번을 모두 거쳐야 합니다.

한림쉼터 아이들의 대이동
인생견생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비영리 스타트업'이라는 게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 '비영리 스타트업'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스타트업, 하면 영리 기업을 떠올리기 쉬운데 '비영리 스타트업'은 그러한 마인드로 비영리 단체를 운영한다는 의미라고 생각됩니다. 서로 반대되는 단어들의 조합이지만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비영리도 돈은 필요하니까요. 한림쉼터만해도 연간 수천만원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사료, 간식, 예방약, 병원비, 운영비(공과금, 쓰레기 봉투 등 소모품), 견사 보수비 등등.

'비영리 스타트업'이라는 게 있다고 합니다